목차
지난 글(믹스패널 데이터 수집 계획에 따라 개발하기)에서는 직접 개발을 통해 mixpanel의 추적 코드를 심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데이터가 알맞게 들어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QA(Quality Assurance)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믹스패널 데이터 수집 계획에 따라 개발하기
지난 글(믹스패널 도입(Mixpanel Implementation)할 때, 반드시 계획 문서는 만드세요)에서는 믹스패널에서 어떤 데이터를 수집할지 꼼꼼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작성된
chjune0205.tistory.com
믹스패널 데이터 QA 방법?
데이터 수집 작업 가이드 글에서는 Dev 프로젝트와 Production 프로젝트를 나눠서 작업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Dev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수집 계획에 따라, 올바르게 데이터가 들어왔는지 확인 후, Production으로 배포를 진행하시면 되는데요, 먼저 QA를 도와주는 도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QA를 도와주는 도구들
Events
Mixpanel 상단바에 보시면, Events라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믹스패널에서는 수집되는 Event 데이터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요, Events 페이지에 수집되는 이벤트를 하나씩 클릭해보며, Property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수집 계획 문서에 맞게 데이터가 들어왔는지 ty를 확인 가능합니다. 또한, property를 기준으로 event 검색을 하거나 필터링도 가능합니다.
기본 리포트들
Insight, Funnel, Retention 등의 기본적인 리포트를 활용하여 '원했던 분석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믹스패널 계획 문서에서 정의했던 KPI에 해당하는 핵심 행동들을 기준으로 리포트를 만들어보세요. 필터링 조건, Breakdown 등 여러가지 조건들을 걸어보고 속성별로도 나눠보면서 핵심 행동을 기준으로 QA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2,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
데이터 QA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데이터가 일관되게 들어오고 있는가? (어떤 기기에서는 데이터가 들어오는데, 특정 기기는 안들어오는 이슈는 없는지? 등)
- 기획 시트와 동일한 Event / Property Name을 사용중인가? (대소문자 구별, 공백까지 꼼꼼하게 검사)
- Property의 데이터 타입 확인 (믹스패널 리포트가 타입 캐스팅을 제공하긴 하지만, 여기에 의존하지 말 것)
- Identify가 잘 되고 있는지? (동일한 사용자가 다른 기기로 접속해보면서 알아볼 것)
3. Dev프로젝트에서 Production 프로젝트로 이전하기
모든 QA가 끝난 뒤, 개발했던 페이지들에 들어가 있는 Mixpanel Library 설치 코드에서 TOKEN값만 Production으로 바꿔주면 배포가 완료됩니다.
'Develop > Data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Analytics (GA)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2) (0) | 2021.03.24 |
---|---|
Google Analytics (GA)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1) (0) | 2021.03.23 |
믹스패널 데이터 수집 계획에 따라 개발하기 (1) | 2021.02.26 |
믹스패널 도입(Mixpanel Implementation)할 때, 반드시 계획 문서는 만드세요 (0) | 2021.02.23 |
믹스패널, 도입 절차 및 기본 정보 (0) | 2021.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