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애널리틱스를 시작할 떄 조직, 계정, 속성, 보기를 설정해야 한다.
이 부분들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조직 =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
계정 = 회사 브랜드
속성 = 브랜드의 웹페이지 / 모바일 페이지
보기 = 마스터 보기, 테스트 보기, 원시 데이터 보기
ex) 여러 회사를 한번에 상대하는 마케팅 대행사 -> 회사별로 조직을 다르게 설정 가능
계정에 고유한 ID가 할당되며 추적코드에 이 내용이 포함된다.
계정 선택기에서 조직이나 계정을 선택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여러 계정을 만들 필요가 없다.
계정별 여러 개의 속성을 만들 수도 있다.
ex) 웹사이트와 모바일의 데이터 세트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웹사이트, 모바일 앱을 각기 다른 속성에서 추적해주는 것이 좋다.
속성 하나에서 URL 또는 하위 도메인이 서로 다른 관련 웹사이트 2개를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 경우에는 '교차 도메인 추적'을 설정하면 된다.
교차 도메인 추적은 동일한 세션에서 발생하는 관련 웹사이트 사이의 이동을 인식하는 기능이며, '사이트 연결'이라고도 한다.
교차 도메인 추적 설정은 모든 사이트 각 페이지에서 애널리틱스 코드를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교차 도메인을 사용하는 사이트의 경우에는 구글 태그관리자를 통해 보다 쉽게 업데이트를 처리할 수 있다.
* 애널리틱스 360 사용자의 경우에는 '롤업 보고'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속성의 데이터가 통합된 새로운 속성에서 집계되도록 할 수 있다. (Google Ads와 같은 다른 계정에서 가져와 연결된 데이터는 롤업 속성에 포함되지 않는다)
어떤 조회가 해당 속성과 연결되었는지 애널리틱스가 파악하려면?
계정과 마찬가지로 속성의 고유 ID도 애널리틱스 ID에 추가된다. 관리 부분에서 다른 속성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 애널리틱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 및 보기의 수는 한정적이라는 점을 유의하자.
필터에 대하여
필터의 유형에는 사전 정의된 필터와 맞춤 필터가 있다.
사전 정의된 필터
사전 정의된 필터는 애널리틱스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필터이다.
특정 ISP 도메인, IP 주소, 하위 디렉토리 또는 호스트 이름에서 유입된 트래픽 데이터를 포함 또는 제외할 수 있으며, 필터의 충족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맞춤 필터
맞춤필터는 데이터 수집에서 hit을 포함 또는 제외하거나, 데이터를 대소문자로 포맷하거나, hit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검색 및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맞춤 필터에서는 지정된 텍스트 형식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 포함 및 제외 필터
비즈니스가 모바일 트래픽만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 기기 카테고리의 '휴대기기'만 '포함'하도록 설정,
반대의 경우 '휴개기기'만 '제외'하도록 설정
- 대소문자 필터
애널리틱스의 데이터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때문에 모든 페이지 보고서에서 동일한 페이지 URL이 여러 번 나타날 수 있다.
대소문자 필터를 이용하면 대소문자만 다른 행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강제 통일 되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이 사라져 깔끔하게 보고서를 받아볼 수 있다.
- 고급 필터
고급 필터로는 정규 표현식(reg ex)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다. 필터 필드를 삭제, 교체 또는 결합을 해준다.
* 정규표현식(reg ex)은 액션을 실행하기 위해 일치하는 텍스트를 식별하는 문자를 뜻한다.
예를들어, '매트리스'를 검색할 떄 이용하는 모든 키워드를 보여주는 필터를 보여준다고 생각해보자.
이 떄 사용자는 '라텍스 매트리스', '메모리폼 매트리스' 등 유사어를 검색할 수 있으니 이를 식별하는 정규 표현식을 만드는 것이 좋다.
* 각 필터는 다음 필터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터링 된 데이터를 전달하므로, 필터의 적용 순서를 신중하게 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필터를 '마스터'보기에 적용하기 전, '테스트'보기에서 확인해보자. 또한 모든 데이터를 필터링하려면 몇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실시간 보고서에서 필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시험할 필요가 있다.
맞춤 측정기준 적용하는 방법
맞춤 측정기준에는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4가지가 있다고 했다.
특정 페이지를 방문하거나 특정 행동을 할 때마다 그 내용이 측정기준에 반영되게 하려면 조회(hit)을,
특정 제품과 연결된 데이터를 분류하려면 범위를 '제품'으로,
세션 시간은 '세션', 사용자의 데이터 분류는 '사용자'로 범위를 설정하면 된다.
맞춤 측정기준 설정 이후에는 애널리틱스에서 자바스크립트 추적 코드를 넘겨준다. 이를 웹사이트 코드에 수현해야 맞춤 데이터가 수집된다.
참고로 맞춤 측정 기준은 이전에 수집했던 데이터에 사용할 수 없다.
먼저, 맞춤 측정기준을 만든 후 처리 중인 데이터에 적용하여 보고서에 나타나게 해야 한다.
'Develop > Data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워드 검색 유입을 알아보자 - 사용자가 어떻게 내 사이트에 들어왔을까? (HTTP Referrer) (0) | 2021.03.31 |
---|---|
Google Analytics 4 (GA4)를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해보기 (1) | 2021.03.26 |
Google Analytics (GA)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2) (0) | 2021.03.24 |
Google Analytics (GA)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1) (0) | 2021.03.23 |
믹스패널 데이터 QA 방법? (0) | 2021.02.26 |